

[전주MBC 자료사진]
◀앵커▶
'남쪽의 귤을 북쪽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고사성어가 있죠.
이처럼 같은 제도라도 운영 방식이 다르면 결과는 전혀 다를 수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제주도와 전북도 감사위원회를 비교하면 꼭 이런 형국인 것 같습니다.
조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독립 기구인 감사위원회를 책임지는 감사위원장은 전북특별자치도 김관영 지사가 추천하고 임명하는 구조입니다.
외부 인사냐 내부 인사냐 상관없이 위원장 후보 군이 어떻게 정해지고 최종 후보가 어떤 절차로 뽑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감사위원회 관계자(음성변조)]
"지사님이 추천을 하죠. (검토를 거쳐) 도의회 동의를 받아서 지사님께서 임명을 한 것이죠."
감사위원회 제도 자체가 애초부터 허술하기 때문일까,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전북도 감사위원회의 모태가 되는 제주자치도 감사위원회,
지난 2006년 출범한 뒤 교육계와 언론계, 학계 등 다양한 이력을 지닌 위원장 6명이 거쳐갔는데, 현재 위원장도 법조계 출신입니다.
[제주자치도 감사위원회 관계자(음성변조)]
"(전북도와 달리) 기본적으로 사무국 소속 직원이 바로 오는 경우는 아직까지 없었고요. 앞으로도 그렇게 될 것 같지는 않긴 한데.."
재작년엔 제도를 한 번 더 갱신하면서 임명 방식에도 큰 변화를 만들어냈습니다.
외부인사 등으로 감사위원 인사추천 기구를 구성하고, 심의절차를 거치도록 해 위원회의 독립성과 위원장 인사의 객관성을 강화한 겁니다.
똑같이 감사위원회를 설치한 전북도에겐, 제도적으로 '없는 절차'입니다.
[현길호 / 제주자치도의원('감사위 추천기구' 조례 발의자)]
"집행부를 감사하는 감사기구가 집행부 최고 책임자의 임명을 받는 게 모양이 안 좋다."
전북자치도는 출범 당시 제주자치도 감사위원회 조례를 가져와 전북판 조례를 제정했습니다.
사실상 제주도 제도를 본 딴 전북도 감사위원회지만, 출범 1년여 만에 전혀 다른 길을 접어들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수진 / 전북자치도의원]
"내부 승진이 돼버린 거죠. 잘못된 거죠. 내부 승진이 됐을 때 감사위원회의 입법취지인 독립성이 확보될 수 있을까 생각이 듭니다."
한편 전북도의회는 감사위원장 결격 논란에 대해 심도 있게 법적 근거를 따져보는 한편, 관련 조례 역시 제정 취지에 맞게 정비해나갈 뜻을 밝혔습니다.
MBC뉴스 조수영입니다.
영상취재: 서정희
화면출처: 제주도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