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MBC 자료사진]
◀앵커▶
전남 나주가 선정된 인공태양, 핵융합 연구시설 입지 결과 발표 이후 전북 정치권과 지자체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나주가 제안한 입지 대부분이 농지와 묘지 등이 포함된 사유지였음에도, 정부기관인 농어촌공사가 소유한 새만금 후보지를 제쳤기 때문인데 특혜 시비까지 일고 있습니다.
강동엽 기자입니다.
◀리포트▶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와 윤준병 민주당 전북자치도당 위원장 등 도내 의원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우선 협상지로 발표한 나주 일대 입지가 부적합하다며, 핵융합 연구시설 대상지 결정 백지화를 촉구하기 위해섭니다.
나주시가 제안한 후보지는 국가산단 토지는 14%에 불과하고 나머지 86%가 절대농지와 묘지 등 개인 땅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개인 땅을 사용하려면 매입이 필요하고 용도에 맞게 전용하기 위해 농식품부 등 정부부처와 협의하는 등의 절차도 거쳐야 합니다.
[윤준병 민주당 전북자치도당위원장]
"개인 소유 토지를 '지자체가 무상양여를 바로 하겠다' 이렇게 하는 것 자체가 난센스(말이 안 되는)이고 그래서 저희들은 이 부분에 대한 고려를 명확하게 했는지.."
또 연구시설 부지로 사용기간을 늘리기 위해서는 별도의 특별법을 만들어 국회 동의까지 얻어야 합니다.
반면 농어촌공사가 소유한 새만금 산단 부지는 별도의 절차나 특별법 없이도 즉시 사업 착수가 가능해, 굳이 나주 입지를 선정할 이유가 없다는 것입니다.
특히 우선 협상 조건까지 충족시킨 새만금을 탈락시킨 것은, 공모 전부터 특정 지역을 염두에 두고 않았다면 도저히 설명되지 않는다며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
"우리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겠습니다. 전북 새만금이 정당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그리고 전북 새만금이 반드시 미래 과학기술의 중심지가 될 수 있도록.."
전남도와 나주시는 사업 추진에는 문제가 없다면서도, 논란이 불거진 입지에 대해서는 입을 열지 않았습니다.
[나주시 관계자]
"저희가 후보지는 확인해 드릴 수가 없습니다. 지금.. 대외비로 관리를 하고 있고 또 국가의 어떤 최종 판단을 기다리고 있어서... "
전북도와 지역 정치권이 전면 대응에 나선 가운데 정부기관 소유로 입지에 강점을 가진 새만금을 왜 탈락시켰는지, 정부에서 답을 내놓아야 할 때입니다.
MBC 뉴스 강동엽입니다.
영상취재: 김종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