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보이스피싱 피해액과 건수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경찰청에 따르면 올 들어 7월까지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는 14,707건, 피해액은 7,766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발생 건수는 25.3% 늘고, 피해액은 거의 두 배(98.7%) 가까이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금융감독원·검사 등을 사칭하는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은 전체 피해액의 75%(5,867억)를 차지합니다.
또 다른 유형인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은 대출을 받기 어려운 서민들을 주로 겨냥하고 있다고 경찰청은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4시간 운영되는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이동통신사와 금융회사의 책임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정부가 마련한 '보이스피싱 근절 종합 대책'에 따르면 정부는 다음 달부터 24시간, 365일 운영되는 '보이스피싱 통합신고대응단‘을 가동합니다.
보이스피싱 통합대응단에 제보되는 범죄 전화번호는 '긴급 차단' 절차대로 10분 이내로 우선 차단되고 24시간 이내에 정식으로 이용 중지됩니다.
문자 사업자·이동통신사·개별 단말기에 이르는 '3중 범죄 수단 원천 차단 체계'도 마련되는데, 먼저 문자를 대량으로 발송하는 사업자는 '악성 문자 차단 시스템'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해 악성 앱 설치 링크가 포함된 문자를 다수에게 전송하는 것을 막습니다.
통신사에서는 악성 앱 설치 링크 접속을 차단하고, 악성 문자는 휴대전화 제조사와 협력하여 개별 휴대전화에 탑재된 '악성 앱 설치 자동 방지' 기능을 통해서 막습니다.
또한, 정부는 금융회사 등에게 보이스피싱 피해액의 일부 또는 전액을 배상하게 하는 방안도 마련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날로 진화하는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보다 강력하고 근본적인 대책으로 국민 여러분을 지켜내겠다”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민 여러분의 주의와 협조다. 의심되는 전화와 문자는 절대 대응하지 마시고, 곧바로 신고해 주시기 바란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