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MBC 자료사진]
전북자치도가 어제(4일) 도민과의 대화에서 김관영 지사와 새만금 현안으로 말다툼을 벌인 군산시의원 주장을 적극 반박하고 나섰습니다.
전북도는 오늘(5일) 3 페이지 분량의 설명자료를 통해, '새만금 무역항' 운영 방안에 대해 전북도가 전문가 자문단으로부터 의견을 수렴한 뒤 이를 은폐한 채 정부에 전달했다는 시의원 주장은 법을 잘못 해석한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전북도가 항만법에 근거해 해양수산부 요청에 따라 전달한 건, 앞으로 새만금 신항 운영의 근간이 될 기본계획에 대한 원론적인 의견일 뿐, 해당 의원이 논란을 제기한 '무역항 지정'과는 무관하다는 설명입니다.
또 무역항 운영 방향에 대해서도 이미 전문가 자문단 의견을 수렴했고, 향후 해수부가 중앙항만정책심의회 등 무역항 지정 절차를 시작하면 공식 전달할 계획이었다며, '은폐했다'는 주장도 사실 무근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똑같은 민주당 소속 도지사와 기초의원의 말싸움으로까지 번진 이번 논란은, 총 사업비 3조 698억 원이 투입되는 새만금 신항만이 내년 부분 개항을 앞두고 구체적인 운영 계획이 수립되는 단계에 이르면서 불거졌습니다.
관할권이 정리되지 않아 지역간 분쟁이 격화되는 새만금 사업의 구조적 문제로,
현재 새만금 신항을 기존 군산항 산하로 둬 하나로 묶자는 군산시의 '원 포트(One-port)' 구상과, 별개로 관리하자는 김제시의 '투 포트(Two-port)' 구상이 충돌하고 있습니다.
두 지자체는 향후 신항만을 둘러싼 관할권 법적 분쟁에 대비해, 각자에 유리한 운영 계획을 관철하기 위해 이 같은 주장을 펴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