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정다감] 전주MBC 2025년 04월 20일](/uploads/contents/2025/04/35072e04eb35f9693b1133e4e576aa9a.jpg)
![[다정다감] 전주MBC 2025년 04월 20일](/uploads/contents/2025/04/35072e04eb35f9693b1133e4e576aa9a.jpg)
[전주MBC 자료사진]
◀앵커▶
창사 60주년 전주 MBC 연속 기획, 전북의 미래, 선거와 공약,
오늘은 네 번째 순서로 지난 정부들처럼 약속만 하고 사라진 전북 공약들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봅니다.
정권 차원에서 전북만을 따로 챙기기 쉽지 않은 만큼 국정 과제에 맞는 사업 발굴과 정치권 내 우군 확보도 절실합니다.
강동엽 기자입니다.
◀리포트▶
조기 대선을 통해 지역 현안들을 공약에 반영시켜 침체돼 가는 전북 발전의 동력으로 삼겠다는 포부를 밝힌 전북자치도,
촉박한 일정을 감안해 희망 사업들은 각 정당과 대선 캠프에 공식 제안됐습니다.
[김관영 / 전북자치도지사]
"대선공약에 제대로 반영되어서 대선 이후에도 우리 도가 주도하고자 하는 여러 정책들이 힘 있게 추진될 수 있는.."
지난 대선에서 새만금 매립 등 희망사업들이 대체로 공약에 반영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선을 앞두고 발굴된 올림픽과 미래산업 과제 역시 후보들의 전북 공약으로 제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문제는 지난 정부에서 반복됐듯 차기 정부에서도 새만금 등 일부 핵심 공약을 제외하고는 소외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과오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우선 국가정책에 맞춘 전략적 접근이 요구됩니다.
차기 정부는 인공지능과 우주방위산업, 이차전지 등 미래산업과 균형발전, 탄소중립 사업을 중점 추진할 것으로 보여, 전북자치도도 맥을 같이해야 실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잼버리 사태와 새만금 예산 삭감 등으로 어려움이 컸음에도 정부·여당에 이렇다 할 창구가 없다 보니 해법 마련이 어려웠습니다.
특히 첨단산업과 재생에너지 육성은 전북뿐 아니라 타 지자체도 중요시하고 있고 한표가 아쉬운 대선 주자들은 가는 곳마다 지원을 약속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새 정부 기조와 정책 수립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주요 인사와의 공감대가 중요할 수 밖에 없습니다.
중진으로 재편된 전북 정치권이 당 지도부나 주요 사업을 다루는 국회 상임위원장을 맡는 것도 전북의 공약 추진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오재록 / 전주대 행정학과 교수]
"관료들이 직접적으로 적극행정을 공약챙기기까지 나서기는 쉽지 않습니다. 전북 출신 인사들이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활약을 해야 되겠고 필요하면 국회 입법도 필요하겠고요."
새정부가 약속을 어겼다는 비난과 불평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전북자치도의 치밀한 준비와 전략이 필요해 보입니다.
MBC뉴스 강동엽입니다.
영상취재: 김종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