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억 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된 전라북도의
농촌 경로당 발마사지기 입찰을
특정 제품이 싹쓸이하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입찰의 과정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상한 점이
한둘이 아닙니다.
입찰 규격서는 업체에서 제공한 제품 사양서와
토씨 하나 다르지 않은 데다, 명확한 사유도
없이 긴급입찰로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사실상 한 업체를 위해 짜맞춰진 입찰이라는
정황이 짙어지면서, 일선 시군들이
특혜를 준 것 아니냐는 의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허현호 기자입니다.
납품할 발 마사지기의 규격과 기능을 규정한
무주군의 과업지시서입니다.
순창군의 과업지시서와
비교해 봤습니다.
제품 용도의 표현은 물론 크기와 가동 범위까지
센티미터 단위로 일치하는데다,
주요 기능 또한 자동 높낮이 조절 기능과
온열 기능, 그리고 듣기에도 생소한
2중 분리 커버로 교체 가능 여부까지
거의 같습니다.
심지어 '지퍼 교체 가능할 것'이라는
띄어쓰기가 잘못된 표현조차 그대로 베껴져
있습니다.
이처럼 입찰을 진행한 10개 시군 대부분
납품 조건으로 제시된 주요 기능 9가지 항목이 표현까지 거의 일치합니다./
그렇다면 시군들이 입찰에 부치면서 베껴 쓴
원본은 무엇일까?
어이없게도 사실상 발 마사지 납품을 독식한
해당 업체의 홍보 자료에서 원본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제품 규격은 물론 잘못된 띄어쓰기 표현까지도 똑같습니다.
무주군 관계자
(특허 사양이랑 그대로 들어갔어요. 띄어쓰기 틀린 것까지....) 그거는 모르겠어요. 저는 확인한다고 했거든요.
결국 특정업체를 염두에 둔 입찰이 아니고서는 가능한 상황이겠냐는 의문이 일 수밖에
없습니다.
낙찰업체 관계자
원래 입찰에서는 경쟁 모델이 같이 존재해야 되는데 경쟁 모델이 없는 상황에서, 규격에 맞는 제품이 이제 00 제품이었던 거죠.
이상한 점은 또 있습니다.
특정업체를 낙찰자로 선정한 대부분의
시군에서 입찰을 '긴급 입찰'로 진행한
것입니다.
정상적인 입찰 절차를 생략할 만큼 긴급한
수요가 있다는 건데,
재난 상황하고는 거리가 먼 발 마사지기
납품을 왜 그렇게 서둘렀는지 선뜻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김제시 관계자
'수요 긴급'으로 들어갔는데요. (긴급 수요라고 볼 수가 있는 건가요? 해봤자 2~3주 (줄어드는 건데...)) ....
이유는 무엇일까.
지방계약법상 긴급 입찰의 경우
관련 업자들이 규격에 대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규매규격 사전 공개' 절차를
생략할 수 있게 됩니다.
공공기관 납품업자
일반적인 마사지 기기 회사에서는 사전 공개를 해주면 그들의 기술력으로 충분히 그런 규격을 빨리빨리 맞출 수 있다고 생각이 들어요. (지자체는) 빨리 이렇게 해가지고, 그냥 조용히 빨리빨리 끝내고... 상식적으로 생각할 때 그렇죠.
결국 특정 제품에 대한 납품이 유리하도록
모든 것이 짜 맞춰져 있다는 의심이 일 수밖에
없는 상황..
이를 위해 제조업체가 직접적으로 개입한
정황도 있습니다.
제조업체가 한 납품업자에게 보낸 메일에는
일명 '사양 작업'을 강조하며 '안전장치를 두고
작업하는 것이 유리하다'라며,
내용을 '외부로 노출하면 안 된다'라고 각별히
보안을 강조하기도 합니다./
안마기기 유통업자
규격서를 특정 규격으로 작업을 하자는 얘기에
요. (시군 담당자들이) 입찰서를 낼 때 공통 사양으로 낼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얘기에요.
결국 자치단체를 상대로 전방위적인 로비가
의심되는 상황..
업계에서는 이처럼 일명 '사양 작업'을 통한
로비가 가장 효과적이라는 말이 상식처럼
통합니다.
공공기관 납품업자
노력을 할 수밖에 없죠. 그 해당되는 제품이 나오는 업체로서는 땅 짚고 헤엄치기라고 볼 수가 있죠. 어찌 됐든 입찰 참가 조건이 (충족할 수 있는 데가) 그 업체밖에 없는데....
150억 원 규모의 대규모 사업을
주관한 전라북도는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심지어 관련업계의 제보로 이미 상황을 알고
있었다면서도 손을 놓고 있었습니다.
전라북도 관계자
이미 이제 공급이 된 것 가지고 (민원인이) 얘기를 하셨으니까... 진행이 된 것 가지고 얘기를 했기 때문에, 저희가 직접 발주하거나 그런 것 같으면 확인을 하는데... 시군에서, 별도잖아요.
복지사업과 함께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목적 달성은커녕 특정 업체의 배만 불린
전라북도의 '생생 농업인 헬스케어' 사업..
전방위적인 로비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전라북도는 사태를 알면서도 의도적으로
방치한 것은 아닌지, 의혹은 짙어지고
있습니다.
mbc 뉴스, 허현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