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오늘의 주제는?
오늘은 [간헐적 폭발성 장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기사를 보면 식당에서 종업원에게 심하게 화를 내면서 음식을 던졌다던가 운전 중에 끼어들기를 했다고 수십 킬로를 쫓아가서 상대 운전자를 위협했다는 등의 소식들이 자주 보입니다. ‘다혈질’이라거나 또 ‘욱하다’ 정도로는 설명이 안 되는 행동들이죠. 흔히 ‘분노조절장애’라고 알고 있는 이 질환은 정확한 진단명은 아닌데요. 정신질환 분류에 따르면 충동조절장애 중 하나인 ‘간헐적 폭발성 장애’에 해당됩니다.
Q: 그렇다면 어떨 때 간헐적 폭발성 장애를 의심해 봐야 하나요?
A: 간헐적 폭발성 장애는 발작적이고 또 폭발적인 행동이, 자신의 의사와는 관계 없이 발생합니다. 다만, 이러한 증상은 흔한 말로 용두사미라고 하죠. 몇 분에서 몇 시간 동안 급격하게 폭발하는 반면에 끝날 때는 매우 빠르게 잦아 듭니다. 또 발작이 없을 때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충동 조절도 잘 되고 공격적인 행동도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헐적 폭발성 장애를 가진 분들도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보통은 진정한 후회와 자책감을 갖는다고 합니다. 스스로 행동에 책임을 져야된다는 것은 알고 있죠. 하지만 충동이 일어나면 자제를 못하고 발작적인 행동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행동들은 본인에게도 심한 스트레스를 주구요. 또 직장이나 학교에서 대인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증상들은 보통 어린 시절에 시작해서 평생 지속되지만 중년기에 접어들면서 부터는 그 정도가 약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Q: 간헐적 폭발성 장애, 그 원인은?
A: 네, 우선 뇌기능이 중요한데요.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서 뇌의 가장 안쪽에서 감정을 조절하는 부위인 변연계와 충동을 조절하는 부위인 ‘안와 전두엽’ 그러니까 눈 위쪽에 있는 뇌의 기능이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충동을 조절하는 신경 물질인 세로토닌의 부족도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Q: 치료 방법은?
A: 먼저 약물치료가 중요한데요. 약물치료는 뇌 내의 세로토닌이라는 물질의 분비를 증가시켜서 공격성을 낮추구요. 발작적인 충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지나치게 화가 날 때면 ‘내가 왜 이렇게까지 화가나지?“ 라고 생각해 보는 게 좋습니다. 화가 나는 원인을 외부에서만 찾다 보면 상대방에게 점점 더 화가 납니다. 그래서 그 원인을 내 자신을 중심으로 생각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아~ 상대방의 말이 나를 무시하는 것처럼 느껴져서 내가 화가 났구나‘ 아니면 ‘아~ 상대방의 실수가 내 잘못인 것처럼 보일까봐서 내가 화가 났구나’ 이런 식으로 말이죠. 이러한 연습을 통해서 청취자분들의 감정의 주인은 바로 나 자신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