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주제는?
<리더의 유형>입니다.
어느 나라, 어느 공동체든지 간에 리더십이 흔들리면 사회적으로 혼란스러운 경험을 하게 되는데요.
특히 <리더의 유형>에 따라서 결국엔 그 공동체의 존재가치가 결정된다는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리더의 유형>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리더의 유형을 네 가지 유형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요.
<수레 끌기 유형>으로 비유되기도 합니다. 다음의 네 가지 <수레 끌기 유형> 중에서 자신은 어떤 리더의 유형인가를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
첫째, 리더 혼자서만 수레를 끌고 가는 스타일 둘째, 리더 자신은 수레에 올라타고, 팀원들에게 끌게 하는 스타일 셋째, 팀원들에게 수레를 끌게 하고, 자신은 따로 걸어가는 스타일 넷째, 팀원들과 함께 수레를 끌고 가는 스타일 |
첫 번째, 두 번째는 당연히 아니고요. 네 번째, 팀원들과 함께 수레를 끌고 다니면, 협력하고 소통하는 리더로 보일 수는 있을지 몰라도, 리더의 역할이 모호하게 됩니다.
그래서 정답은 세 번째, 팀원들에게 수레를 끌게 하고, 자신은 따로 걸어가는 스타일이 가장 바람직한 리더의 유형이라는 겁니다.
<최악의 리더십>에 대해서는 [이면우 교수]의 에 나오는 세 가지 유형인데요.
첫째, 리더가 그 분야에서 무식한 경우입니다. 이런 사람이 리더가 되면, 전문지식을 쌓을 때까지 모든 일은 보류될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리더가 그 분야에 무식한데다, 소신이 있는 경우라는 겁니다.
식견이 부족한 사람이 소신을 갖는 것처럼 위험한 일은 없다는 건데요.
그 분야에 무식해도, 다행히 소신이라도 없다면, 주위에 물어보거나 공부라도 할 것인데, 무식한 사람이 소신만 있으면 일을 하는 과정에서 오로지 <비장함>만 나온다는 겁니다.
리더가 그 분야에 무식한데다, 부지런한 경우입니다.
그 분야에 무식한 사람이 부지런하면, 갈 곳 안갈 곳 안 가리고 쫒아 다니면서.. 건드릴 것, 안 건드릴 것, 다 건드리며 사고를 친다는 겁니다.
리더십은 사람을 움직이는 힘이잖아요. 사람을 움직이는 최선의 방법은, 먼저 상대방의 마음속에 강력한 공감과 욕구를 일으키는 것입니다.
이것을 할 수 있는 사람은, 만인을 이끄는데 성공할 것이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은, 한사람도 이끌어 나가지 못하게 된다는 이론입니다.